Dynamic Display 란
FND (LED)를 빠르게 번갈아가며 점멸하여 여러개의 LED가 동시에 켜져있는것 처럼 보이게 하는 방식이다.
장점으로는 여러개의 LED를 적은수의 제어핀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TV도 이런한 방식으로 초당 30프레임정도를 돌아가며 반복하여 화면에 뿌려주는 것이다.
그러면 잔상효과로 인하여 사람의 눈에는 TV가 움직이는 영상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Dynamic Display 라 한다.
위의 회로도는 Tr의 베이스 입력단의 출력은 Source 방식으로 전류를 흘러보내주고
FND 에 입력된 단자들은 Sink 방식으로 외부전류를 받아들일때 작동하는 방식을 이용한것으로
Source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MCU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MCU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Sink 방식으로 스위칭을 전류를 받아들이냐 받아들이지 않느냐 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면 MCU의 적은 전류를 tr로 증폭시켜 증폭된 전류로 FND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MCU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이번에 만들 작품은 Dynamic Display 방식을 이용한 계산기 이다.
FND는 이런 방식으로 만들면 되고 키페드도 생각해봐야겠네....
회로도자료 :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5&dirId=5&docId=485590&qb=ZHluYW1pYyBmbmQ=&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euA/doi5UKssaaLlSZsss--071768&sid=TRCi9rtsEE0AAHM94F4 에서 참조
FND (LED)를 빠르게 번갈아가며 점멸하여 여러개의 LED가 동시에 켜져있는것 처럼 보이게 하는 방식이다.
장점으로는 여러개의 LED를 적은수의 제어핀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TV도 이런한 방식으로 초당 30프레임정도를 돌아가며 반복하여 화면에 뿌려주는 것이다.
그러면 잔상효과로 인하여 사람의 눈에는 TV가 움직이는 영상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Dynamic Display 라 한다.
위의 회로도는 Tr의 베이스 입력단의 출력은 Source 방식으로 전류를 흘러보내주고
FND 에 입력된 단자들은 Sink 방식으로 외부전류를 받아들일때 작동하는 방식을 이용한것으로
Source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MCU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MCU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Sink 방식으로 스위칭을 전류를 받아들이냐 받아들이지 않느냐 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면 MCU의 적은 전류를 tr로 증폭시켜 증폭된 전류로 FND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MCU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이번에 만들 작품은 Dynamic Display 방식을 이용한 계산기 이다.
FND는 이런 방식으로 만들면 되고 키페드도 생각해봐야겠네....
회로도자료 :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5&dirId=5&docId=485590&qb=ZHluYW1pYyBmbmQ=&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euA/doi5UKssaaLlSZsss--071768&sid=TRCi9rtsEE0AAHM94F4 에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