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b.

AVR 을 이용한 모터 RPM 체크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응용 수업에 개인 텀프를 발표떄 만든 작품이다.
캡스톤 때문에 코엑스에서 전시하고 와서 정신 못차리고 있다가 할룻밤만에 만든 코드와 작품....

초기에 OP-Amp의 비교기를 이용하여 인터럽트 파형을 만들어 주려고 했는데 OP-Amp가 생각처럼 동작하지 않았다.

OP-Amp는 HA17741을 사용하였는데 양전원 용이라는거 같았다...
(아니면 코딩에서 실수를 했었을 수도.....)
(지금생각해보면 OP-Amp 보다 코딩의 실수인듯 싶다.)

대략적인 구성은 BLDC 변속기에 PWM 파형을 입력하면 변속기가 모터를 돌리고
모터의 금속부분에(나머지는 검정테이프를 붙여놈) 적외선이 반사되면 SG-2BC를 통해 빛을 감지하여
타이머의 입력 캡쳐 기능을 이용하여 TCNT값을 읽어들여 시간을 계산하여 CLDC에 출력하는 구조이다. 




위 사진은 SG-2BC를 이용하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을 받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위 사진은 모터가 회전할때의 수광부에서의 파형이다. 

난 평소에 이클립스를 이용하여 GCC로 코딩을 하는데 CLCD는 한번도 GCC로 코딩해본적이 없는걸?.....  당장 다음날 발표를 해야 하는데 말이지....ㅠㅠ  

그래서 결국 코드비젼을 이용하였다. 
왜냐면 수업시간에 코드비젼으로 작업을 해서 코드비젼에 맞게 하드웨어가 작성되어 있어서 그냥 입력만 하면 됐거든...... 


아래는 회로도



사실 별거 없다는거.....  저기에서 OC1A로 출력을 했던거 같은데.... 회로도는 안그려져 있네...ㅠㅠ  흐미 저 오른쪽에 CON16은 뭥미??......
겁네 대충그렸구먼....ㅠ.ㅠ

하여튼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데이터를 처리하는데서 어마어마한 실수를 해버렸다.
////        temp =TCNT3L;
////        clock=(TCNT3H<<8);
////        clock=clock|temp;

    clock=(ICR3H);
    clock=clock<<8;
    clock=clock|temp;
이것의 차이는....  오버플로우가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고의 차이다. 
그러면 숫자가 정말 개념없이 튀게 된다.....

이거때문에 얼마나 고생을 했던지.....
(도데체 인터넷에 이렇게 코드올려놓은 사람은 누구야~!!!!!)

아마도 OP-Amp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생각한것도 이부분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ㅠㅠ

하여튼 이렇게 해결하여 하루밤만에 뚝딱 만들어버림...ㅋㅋㅋㅋㅋㅋ

이클립스를 이용하여 LCD 출력하는 LCD.h 파일을 하나 만들어봐야겠당.......
(그래야 이제 마음놓고 이클립스를 쓰지.....)


소스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