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글본

비글본(BeagleBone Black Rev. C) 하드웨어 구조

 

 

비글본(BeagleBone Black Rev. C) 하드웨어 구조

 

비글본 하면 생각나는 단어...지랄견....
또하나 블랙본....  (나는 종종 비글본을 생각하고 블랙본이라 타이핑하기 때문에...)

 

BBB(BeagleBone Black)의 하드웨어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사실... 이런건 데이타시트 보면 다나오지만....그래도 정리하는 느낌으로 ^^;;

하긴 중국 출장와있는 한가한 이떄 이런거나 해놔야지... 한국가면 또 잠수탈지도....

 

그래도 친구들과 함께 세미나하기로 했으니 어느정도 최소한의 데이터가 올라가긴 하겠지?

 

http://www.beagleboard.org/ 에서 자료를 참조하도록 하고...

BeagleBone Black System Reference Manual을 참조하였다.

 

아직 비글본 블랙(이하 비글본)이 도착하지 않은 관계로 외부이미지를 첨부하였다.

 

Rev B 부터 processor 가 AM3358BZCZ로 변경되었다.
Rev C 부터 eMMC 가 2G 에서 4G로 변경되었다.

 

프로세서 : Sitara AM3358BZCZ100, 1GHz(중앙)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ARMv7-A 아키텍처 기반의 Cortex-A8 코어이다.
DSP로 유명한 TI 에서 만든 칩.. 시간이 되면 이것도 조금 이야기를 풀어볼 수 있으려나?
SGX530 3D의 그래픽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고 한다.


메모리 : 512MB DDR3L (USB오른쪽 위치) 
저기 뒤에 붙은 L이 좋은거라고 하더라고..
덕분에 동작전압이 약간 내려갔고, 클럭은 올라갔다나?

역시 Controller 가 아니라 Processor 라는건가?

후덜덜 하구먼...

 

HDMI 인터페이스 : NXP TDA19988BHN(왼쪽 하단, 메모리 아래)
그래픽은 프로세서 내부에 있다. LCD 인터페이스를 HDMI로 변경시켜주는 녀석
Rev. A5B 부터 1920* 1080@24Hz 가 지원되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지원되었으며 그 이후버전은 전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파워 : TPS65217C
보드및 디바이스에 3.3V, 1.8V, 1.5V, 1.1V 를 공급해 준다.

주기억장지 : eMMC
Micron / Kingston eMMC 4G


이더넷 : Ethernet PHY
LAN8710A PHY
이더넷은 MAC 과 PHY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MAC은 칩 내부에 PHY는 외부에 구성한다.

결론은 위의 블록도와 같다.

 

MCU만 다루던 나로써는 비글본의 주변회로구성만으로도 항당히 버검움이 느껴진다.
대표적으로 입력전원만 해도 이거여 원.....

역시 MPU는 MCU와 차이가 있군....

DSP에서도 데이터선의 길이에 따라 라인의 꺽인 각도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해 회로설계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는데...

역시 개인이 제작해 사용하기는 조금 힘든 것 같다.

 

키트의 한계인가?

STM32F4DISCOVERY 보드를 사용할 때도 통신을 하다가 에러가 계속 발생하여 확인해봤더니 출력 포트가 DISCOVERY 보드의 LED랑 연결이 되어 계속적으로 에러가 발생한 적이 있는데....

하긴 그렇게 따지고 들면.....  AM3358칩도 충분한 오버스펙이긴 하지.....

나에겐 첫 MPU가 되겠군....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꺼 같다.

 

ATmega128을 나름 열심히 공부를 해서 ARM 사용에 도움이 많이 되었듯이...

이번 비글보드도 열심히 공부해서 다른 MPU를 사용하게 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열심히 해봐야겠다!!!!!

(세미나를 하게 되면 모두에게 물어봐야겠군... 좀더 하드웨어적으로 접근을 해서 공부를 할 것인지 OS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접근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익힐 것인지.....  하긴 요즘 스펙이 너무 좋아져서 효율성따위.... 무시가능한 하드웨어 성능을 뿜어내니.....)

 

열심히 하자~~  화이팅!!!!!